뉴빌리지 사업은 노후 저층 주거지의 재건과 정비를 지원하는 혁신적인 국가 프로젝트입니다. 주민 편의를 위한 돌봄·체육시설, 공원, 지하주차장 등 다양한 기반시설을 제공하며, 단지형 연립주택 및 대규모 주택단지 조성을 통해 정주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지역 개발을 목표로 한 뉴빌리지 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1. 뉴:빌리지 사업 개요
국토교통부는 노후 단독주택과 빌라촌 등 저층 주거지역에 아파트 수준의 기반·편의시설과 주택정비를 통합 지원하는 뉴:빌리지 사업의 선도사업 32곳을 선정했습니다. 이 사업은 민간 주택 정비에 공공의 인프라와 금융 혜택을 제공하여 주거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지역사회의 활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사업 목적: 노후 저층 주거지의 정주환경 혁신
- 지원 내용: 5년간 최대 국비 150억 원 지원
- 혜택: 용적률 완화, 저리 기금융자, 정비 컨설팅 등
- 선정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전국 32곳
2. 뉴:빌리지 사업 선도지역 및 주요 계획
뉴:빌리지는 노후 저층 주거지에 기반·편의시설과 주택정비를 패키지로 지원하여 정주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지역과 사업 개요입니다.
지역 | 총 사업비 (국비) | 기간 | 면적(㎡) | 주요 내용 |
서울 종로구 옥인동 | 518.1억 원 (국비 55.8억 원) | ‘25~’29 | 30,282 | 역사문화환경 보존으로 재개발 해제된 노후 주거지에 어린이 보육 키즈센터, 노인 복지시설 등 편의시설 공급. 주택정비 사업 활성화. |
경북 영주 | 250.0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8,281 | 구도심 노후 주거지에 주차장 및 주민 필요시설 설치. 정주환경 개선 및 주민 만족도 향상. |
서울 강북 | 218.79억 원 (국비 74.028억 원) | ‘25~’29 | 50,485 |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 공급과 주택정비 활성화 지원. |
경기 광명 | 430.28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134,300 | 생활기반시설 정비 및 확충으로 아파트 수준의 정주환경 제공. |
전남 강진 | 328.3억 원 (국비 129억 원) | ‘25~’29 | 199,874 | 맞춤형 기반시설 공급 및 신규마을 조성사업과 연계한 주택 정비. |
울산 북구 | 1,545.97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3,000 | 도로 및 기반시설 설치를 통해 주택 공급 유도. 정자지구 정주환경 개선. |
경북 경주 | 497.0억 원 (국비 157.2억 원) | ‘25~’29 | 182,000 | 주차장, 문화·체육시설 등 확충으로 신규 주택 258호 공급 지원. |
3. 선정된 선도사업 32곳의 주요 지역 특징
이번 사업에서는 총 1.2조 원이 투자되어 주차장, 복합편의시설, 공원 등 총 237개의 기반시설이 설치될 예정입니다. 주민들이 직접 주택 정비를 추진하면, 용적률 완화, 기금융자 등의 혜택이 추가로 제공됩니다.
지역 | 주요 시설 | 사업 내용 |
서울 종로구 옥인동 | 주차장 24면, 어린이·노인 복지시설 | 공공임대주택 20호, 자율주택정비 50호 |
충남 천안시 원성동 | 주차장 150면, 커뮤니티센터 | 자율주택정비 60호, 주민쉼터 2개소 |
부산 연제구 | 공영주차장, 도서관 | 생활 SOC 및 주택정비 지원 |
4. 뉴:빌리지 사업의 기대 효과
뉴:빌리지 사업은 단순한 주택정비를 넘어, 지역사회 전반의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주환경 개선: 주민 도보 5분 내 접근 가능한 편의시설 설치
- 주택정비 활성화: 용적률 완화 및 저리 기금융자 제공
- 경제적 효과: 총 1.2조 원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
- 공공시설 확대: 주차장, 돌봄·체육시설 등 주민 생활 편의 증대
5. 선정된 주요 지역 사례
서울 종로구 옥인동
옥인동은 역사문화환경 보존으로 인해 재개발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입니다. 어린이 복지시설과 공영주차장 24면을 조성하며, 공공임대주택 20호와 자율주택정비 50호를 지원합니다.
충남 천안시 원성동
원성동은 노후한 기반시설이 문제였던 지역으로, 주차장 150면과 커뮤니티센터를 포함한 기반시설을 새롭게 설치합니다. 자율주택정비 60호와 주민쉼터 2개소도 제공될 예정입니다.
경북 영주
‘70년대 조성된 구도심 노후 주거지에 주차장과 복합편의시설을 설치하여 정주환경을 개선하며, 주민 만족도를 높이는 사업입니다.
울산 북구
정자항 배후 노후 주거지를 대상으로 도로 개설 및 기반시설을 설치하여 정주 매력을 높이고 신규 주택 공급을 촉진합니다.
6. 사업의 추진 일정
국토교통부는 이번에 선정된 사업지들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며, 매년 진행 상황을 평가하여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주민의 참여와 지자체의 협력을 통해 추가적인 주택 공급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7. 주요 지원 내용
뉴:빌리지 사업은 아래와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 기반시설: 도보 5분 내 주차장, 복합편의시설, 공원 등 237개 설치
- 주택정비: 약 3천 호 비아파트 공급 (570호는 정비 착수 준비 완료)
- 금융지원: 저리 기금융자(금리 2.2%), 용적률 완화
- 컨설팅: 한국부동산원을 통한 정비 컨설팅
8. 뉴:빌리지 선도사업 신규선정 안
1. 서울 종로 옥인동
‣ (공동시설) 주차장, 복합편의시설(돌봄·노인) 등
‣ (주택정비) 80호 계획(사업 신고·승인 절차 완료 4호
2. 경북 영주
‣ (공동시설) 주차장, 복합편의시설 및 공원 등
‣ (주택정비) 125호 계획(사업 신고·승인 절차 완료 30호
3. 서울 강북
‣ (공동시설) 천변 정비, 주차·체육시설 등
‣ (주택정비) 단지형 연립(70세대 내외
4. 경기 광명
‣ (공동시설) 공원정비, 지하주차장
‣ (주택정비) 1개 동(40세대 내외)
5. 전남 강진
‣ (공동시설) 돌봄·체육시설, 공원·주차장
‣ (주택정비) 연립주택(114세대 내외)
6. 경북 영주
‣ (편의시설) 주차장 33면 등
‣ (주택정비) 1개 동 12세대 규모(구역 내 확대 유도)
7. 울산 북구
‣ (편의시설) 주차장 10면 규모
‣ (주택정비) 1개 동 8세대 규모
광역 | 기초 | 총사업비(국비) | 기간 | 면적(㎡) | 주요 내용 |
서울 | 종로구 신영동 | 201.9억 원 (국비 52.12억 원) | '25~'29 | 44,071 | 재건축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인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기반한 주차장, 주민공동이용시설 등 편의시설을 공급하고, 주택정비 사업지원을 통한 주택정비 활성화 |
서울 | 종로구 옥인동 | 518.1억 원 (국비 55.8억 원) | '25~'29 | 30,282 | 역사문화환경 보존 사유로 재개발구역 직권 해제지역인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기반한 어린이 보육 키즈센터, 노인 복지시설 등 편의시설을 공급하고, 주택정비 사업지원을 통한 주택정비 활성화 |
서울 | 중구 회현동 | 254.39억 원 (국비 101.356억 원) | '25~'29 | 63,944 | 남산 최고고도지구 등 도시규제로 인해 전면철거형 정비사업이 불가능한 회현동 일대를 대상으로 주민수요에 기반한 소방도로 확충, 주차장 조성 등 기반‧편의시설을 조성하고 공공선도사업 및 민간개발사업 등 연계 |
서울 | 강북구 | 218.79억 원 (국비 74.028억 원) | '25~'29 | 50,485 | 도시관리계획 상 건축규제에 따른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기반한 주차장, 공원 등 기반·편의시설을 공급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뉴:빌리지 현장지원센터, 휴머네이터 등 주택정비를 지원하여 정비 활성화 유도 |
부산 | 사상구 | 308.31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167,000 | 주례동 주례지구 도심 주거기능 강화를 위한 주차시설과 건강문화·교육 돌봄 기능 강화를 위한 센터 조성, 지역자산을 활용한 공원과 지역 안전강화를 위한 가로정비 등을 통해 민간 주도 주택정비 기반 마련 |
부산 | 부산진구 | 474.73억 원 (국비 154.5억 원) | '25~'29 | 169,220 | 사방이 아파트로 둘러싸인 노후 저층 주택 밀집지역으로 주차장과 편의시설 등 공공의 생활 인프라 시설 공급을 통해 민간의 자발적 노후주택 정비 및 신규주택 공급 유도 |
부산 | 연제구 | 200.5억 원 (국비 100억 원) | '25~'29 | 105,774 | 저층 주거 밀집지역에 지역주민의 설치 요구가 절실한 공영주차장, 도서관, 공원, 도로 등 생활SOC를 확충하고, 자율주택정비사업 및 개별 재건축 등 주택정비 지원사업을 통해 아파트 수준의 정주환경 제공 |
대구 | 중구 | 300.6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6,360 |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기반한 주차장, 문화교육센터, 주민 커뮤니티센터 등 편의·기반시설을 공급해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주택 정비 활성화를 위해 주민합의체 구성, 사업성 분석 지원 등 주민 주도 주택정비사업 지원 |
울산 | 중구 | 1,064.6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78,609 | 전면 재개발이 어려운 태화동 노후 저층 주거지역에 아파트 수준의 기반‧편의시설을 조성하고, 주민이 자율주택정비를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노후한 도시에 활력 증진 도모 |
울산 | 남구 | 316.0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46,800 | '60년대 개발된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기반한 주차장, 노인 문화교육‧돌봄시설 등 편의시설을 공급하고, 주민 주도의 노후주택 정비사업 지원 |
울산 | 북구 | 1,545.97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3,000 | 정자항 배후 노후 저층 주거지 내 주택 공급을 유도할 수 있는 도로를 개설하는 등 주택정비사업을 지원하고, 수요대응형 기반‧편의시설 공급을 통해 살고 싶은 정자지구 제로빌리지(주거격차, 일상불편 제로) 조성 |
광역 | 기초 | 총사업비(국비) | 기간 | 면적(㎡) | 주요 내용 |
경기 | 광명 | 430.28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134,300 | 전면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택정비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주택공급 확산과 생활기반시설 정비 및 확충으로 아파트 수준의 정주환경을 개선하여 계속 살고 싶은 곳으로 전환 |
경기 | 수원 | 284.45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9,854 | 재개발 해제지역 내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기반한 주차장, 공원, 복지시설, 돌봄시설 등의 기반·편의시설 공급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정비지원센터 설치 및 주택정비 활성화 |
경기 | 김포 | 252.3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144,000 | 노후 저층 주거 밀집 지역인 사우 원도심에 주민수요에 기반하여 아파트 수준의 주민공동이용시설‧생활체육시설 및 주차공간을 공급하고 생활안전시설 설치 및 민간자율 주택정비 촉진을 통한 뉴:빌리지 조성 |
충남 | 천안 | 252.5억 원 (국비 150.3억 원) | '25~'29 | 147,854 | 재개발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인 원성동 일원에 주민편의시설(주차장, 공원, 커뮤니티센터 등)을 공급하고 주민 주도의 주택정비 사업(자율 주택정비사업 등)을 유도 |
충남 | 금산 | 470.47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4,309 | 뉴:빌리지 사업을 추진하여 노후화된 대상지의 정주환경 개선(공원 4,806㎡, 주차구역 223면 신설)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 |
전북 | 부안 | 176.8억 원 (국비 84억 원) | '25~'29 | 83,582 | 맹지, 노후주택, 부족한 기반·편의시설 등으로 개발 여건이 열악한 지역에 도로개설과 기반·편의시설 복합화 등 물리적 환경 개선과 현장지원체계 구축으로 민간의 자율적 주택 정비·공급 활성화 도모 |
전남 | 강진 | 328.3억 원 (국비 129억 원) | '25~'29 | 199,874 |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민수요에 대응하는 지역맞춤형 기반‧편의시설을 공급하고 강진군 주거지원 특수시책인 신규마을 조성사업, 주택신축 지원사업과 연계해 주민과 기업의 자율적 주택 정비 견인 |
경북 | 영주 | 250.0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98,281 | ‘70년대 조성된 구도심 노후 저층 주거지로 전면 재개발, 재건축이 일어나기 힘든 지역으로 주차장 및 주민 필요시설을 설치하여 정주환경 개선 및 주민 만족도 향상 |
경남 | 양산 | 352.0억 원 (국비 150억 원) | '25~'29 | 134,617 | 아파트 수준의 정주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쉼터, 주민생활·안전시설 등을 설치하고 노후화된 주거환경 정비 및 주민주도의 자율 주택정비사업 추진 |
9. 서울 종로구 옥인동 뉴:빌리지 사업


사업 개요
항목 | 내용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
사업비 | 518.1억 원 (국비 55.8, 매칭지방비 83.7, 부처협업 52, 자체지방비 312.9, 공기업 13.7) |
규모 | 면적: 30,282.5㎡ |
도입시설 | 주차장 조성(24면), 마을관리사무소, 어린이‧노인 복지시설 등 |
분류 | 세부 내용 |
주택정비 | 공공임대주택(20호), 개별 신축(10호), 자율주택정비(50호) |
정주여건 | 공영주차장 조성(24면), 어린이 및 노인 복지시설(2개소) 등 |
생활편의 | 마을관리사무소 조성, 주민공동이용시설 개선 등 |
10. 충남 천안시 원성동 뉴:빌리지 사업


항목 | 내용 |
위치 | 충청남도 천안시 원성동 |
사업비 | 252.5억 원 (국비 150.3, 매칭지방비 100.2, 자체지방비 2) |
규모 | 면적: 147,854.8㎡ |
도입시설 | 주차장 조성(150면), 마분공원 정비(작은도서관 포함), 가로정비 등 |
분류 | 세부 내용 |
주택정비 | 자율주택정비(60호), 개별 재건축(2호) |
정주여건 | 주차장 조성(150면), 커뮤니티센터 및 노인회관 조성 등 |
생활편의 | 소규모 주민쉼터(2개소), 범죄예방시설물 설치, 도로포장 등 |
11. 마무리 글
뉴빌리지 사업은 단순한 주거 환경 개선을 넘어, 노후 주거지의 재생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민 중심의 정비와 혁신적인 기반시설 제공을 통해 누구나 살고 싶은 주거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뉴빌리지 사업은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입니다.
아래 글도 함께 보면 좋아요!
2024.12.27 - [분류 전체보기] - 창녕 밀양 고속도로 개통! (+경제·관광 효과와 주요 혜택)
창녕 밀양 고속도로 개통! (+경제·관광 효과와 주요 혜택)
2024년 12월 28일, 경남 창녕과 밀양을 잇는 창녕~밀양 고속도로가 공식 개통되었습니다. 이 도로는 경남 내륙 지역의 동서를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주민 이동 편의성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festivallllll.tistory.com
2024.12.24 - [분류 전체보기] - 고양은평선 총정리! (+6호선 연장 노선도·정거장·개통 정보)
고양은평선 총정리! (+6호선 연장 노선도·정거장·개통 정보)
고양은평선 광역철도 기본계획이 승인되었습니다! 총 연장 15km 구간에 8개 정거장이 신설되며, 1조 7,167억 원이 투입됩니다.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는 경전철 노선은 6호선 및 서부선과 연결되어
festivallllll.tistory.com
2024.12.24 - [분류 전체보기] - 강동하남남양주선 총정리! (+9호선 연장 노선도·정거장·개통 정보)
강동하남남양주선 총정리! (+9호선 연장 노선도·정거장·개통 정보)
강동하남남양주선 광역철도 기본계획이 승인되었습니다. 서울지하철 9호선 연장으로 수도권 동북부 교통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남양주 왕숙·왕숙2지구와 하남 미사지구를 연결합니다. 2031
festivallllll.tistory.com
2024.12.23 - [분류 전체보기] - GTX 개통 포함! 1기 신도시 광역교통 및 이주 지원 정책
GTX 개통 포함! 1기 신도시 광역교통 및 이주 지원 정책
국토교통부는 2024년 12월 19일, 1기 신도시의 체계적인 정비와 안정적 이주를 지원하기 위해 종합적인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기 신도시 이주지원 및 광역교통 개선 방안! 안
festivallllll.tistory.com
2024.12.23 - [분류 전체보기] - GTX-A 파주 운정중앙역 12월 28일 개통! (+혜택 추가개발)
GTX-A 파주 운정중앙역 12월 28일 개통! (+혜택 추가개발)
파주시 GTX-A 노선 정식 개통! 서울까지 단 22분으로 연결되며, 지역 경제와 생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교통망과 편리한 인프라, 역세권 개발로 파주가 경기 북부의
festivallllll.tistory.com